뫼사자 2008. 7. 14. 12:27

 국화과의 여러해 살이풀로 포기상으로 자라며 4~5월 초봄에 한뼘쯤 자란것을 베어 말려서  쓴다.

 줄기 밑 부분은 나무처럼 딱딱하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봄에 뿌리에서 나온 잎은 두차례 깃털모양으로 갈라지고 솜털이 빽빽하게 나며 개화후에 없어진다.

꽃이 달리지 않은 잎은 넓으며 로제트형이고  줄기의 잎은 털이 없고 가늘게 갈라진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여름에 마르고 줄기ㅐ에서 나온 잎은 가을에 마른다.

줄기나 가지끝에 많은 황색꽃이 원뿌리꼴로 모여  피고 꽃잎은 없으며 꽃은 8~9월에 피며 9~10월에 수과로 열매를 맺는다.

 소염성 이담제로서 담즙을 많이 나오게 하는 동시에 담즙속의 덩어리를 밖으로 배출하여 간을 깨끗이 한다.

주성분은 쿠마린, 클로로 진산, 카페인산과 정유이며 황달과 관련된 증상을 치료하고 이담 ,퇴황작용을 하고 습열을 제거한다.

발효액을 만들때는 음력 3월~4월경쯤에 자란것을 지상부만 베어 쓰는데 잡질과 흙을 털어내고 짧게 잘라 항아리에 넣고 흑설탕을

 재료의  1/2 정도 넣어 밀봉한후 5~6월뒤에 음용한다.

말린 인진쑥을 사용할때는 감초, 대추와 생강을 적당히 넣어 약한 불로 진하게 고아 낸뒤 흑설탕과 엿기를을 넣고 발효 시킨다.

성질이 차기 때문에 열성 체질에 특히 좋으며 맛은 맵고 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