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지황:현삼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약용식물로 그 뿌리를 포제 가공한 것으로 한방에서
약재로 쓰인다.
뿌리를 세척만 한상태가 생지황,생지황을 10~11월에 채취하여 건조시키면
건지황이라 하며 찬성질을 가지고 있다.
생지황을 캐서 적당한 양을 물에 담갔을때 가라앉는 것은 지황,절반정도 가라
앉은 것은 인황,물위에 뜨는것은 천황이라 하는데 인황과 천황 및 가는 뿌리를
짓찧어 낸 즙에 지황을 담가서 버드나무 시루나 질그릇 시루에 넣고 푹 쩌서
햇빛에 말려 또 그즙에 하룻밤 담갔다가 쩌서 말리기를 9번 하는데 찔때마다
청주를 뿌려서 쩌낸다.
찌고 말리고 반복해서 충분히 익게 되면 속과 겉이 검게되고 윤기가 흐르며 질이
부드럽고 연하게 된다.이것을 말려서 보관해두고 먹는데 구증구포라 부르고 약재의
성질을 바꾸어 따뜻하게 하려는 의도가 있다.
특히 여성의 월경을 고르게 하고 빈혈을 치료하며 백내장 치료와 예방에 아주 좋은
도움을 준다.
독이없고 맛이 달며 약간 쓴맛도 있는데 혈을 보하고 정을 보충해서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아픈증상.어지럼증을 치료하고 머리를 검게 한다.
여성의 출산후나 월경등으로 인한 과다출혈.허약 .어지럼증.등에 널리 쓰이는 사물탕의 주요 약재이며 각종 만성병증에 나타나는 내열.인후건조.갈증등의 증상에 쓰인다.
예로부터 허담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어 차로 달여 마셨으며 기침과 천식에 복령.반하등과 배합하여 사용 하였다.
돼지고기를 삶은 국물과 함께 복용하면 습관성 변비에 효과.간.심장.신장의 경락에
작용하며 심포경.간경.담경에도 작용하여 보혈제로 쓰이고 생리불순.허약체질.어린이의
발육부진.치매.조루증.발기부전에도 효험이 있어 5~10g+물200cc를 달여서 하루 세번
나누어 마신다.
소모성 질환이나 퇴행성 질환에 많이 쓰이고 장기간 복용시 소화 장애를 일으켜 설사.복창등 부작용도 생김으로 입맛이 없고 소화가 안되며 설사를 할때는 신중히 사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