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용,약용식물의 특징
1.식용과 약용으로 사용할수 있는 식물은 대개 줄기에 붉은색 무늬가 있거나 잎자루가 붉다.
2.산에서 나는 먹을수 있는 식물의 잎,열매,뿌리는 대부분 장아찌를 담글수 있으며 독특한 향이 난다.
잎으로 장아찌를 담글때는 채취하여 물에 씻지말고 그대로 소금물 1:3 에 2-3일 절여 물기를 뺀뒤 간장,설탕,식초을 같은분량으로 붓고
6개월간 그늘에 두었다가 먹는다.
뿌리로 담글때는1:3 소금물 에 2-3일 절였다가 햇빛에 말려 꾸덕해지면 양념장으로 담근다.
3.식물은 봄철 꽃이 피기전에 어린순과 잎을 나물로 먹을 수 있으며 나물은 여러종류를 섞어서 먹으면 더욱 맛있다.
4.봄꽃은 줄기가 연하고 바람의 저항을 적게 받기 위해 키가작고 햇빛을 많이 받기 위해 주로 양지바른 곳에 자라고 반면 여름꽃과 가을꽃들
은 키가 큰편인데 이것은 일조량과 수분 섭취량이 많기 때문이다.
5.모든 꽃들은 꽃봉오리 안쪽에 점이나 진한 무늬가 있는데 벌과 나비는 향기에 이끌려 꽃을 찾아들지만 향기가 나지 않는 꽃의 경우 꽃잎의
점이나 진한 무늬가 이정표 역할을 한다.
6.키가 큰 야생화를 작게 키우고 싶을 때는 새순이 올라올째 윗부분을 따주면 가지가 옆으로 퍼지면서 키가 크지 않으며 꽃도 많이 핀다.
7.독초는 초봄에 다른 식물보다 아주 빨리 성장하고 꽃도 빨리피며 열매도 빨리 맺는다.
8.약용식물의 경우 뿌리를 사용하면 약효가 빨리나타나며 오장을 튼튼하게 한다.
9.유근피,오가피 ,상백피등 피자가 붙거나 나무또는 줄기 껍질을 약으로 사용하는 식물은 거풍,류마치스,근육통에 쓰인다.
10.나무나 식물의 줄기에서 하얀색 유액이 나오는 것은 비장에 들어가 풍을 없애고 정력을 강화시킨다.
11.잎보다 꽃이 먼저 피는 식물 열매를 먹을 수 있는 식물은 간장병,해열,두통,감기,천식,기관지염에 주로 쓰인다.
12.쓴맛이 나는 약재는 심장에 주로 쓰이고 너무 복용하면 정력이 약해지므로 주의해야 한다.
13.신맛이 나는 약재는 간에,단맛이 나는 약재는 비장에,매운맛이 나는 약재는 폐에 ,짠맛이 나는 약재는 신장에 주로쓰인다.
14.지상에 있는 식물은 남성에게 좋은 약재이며 여성에게는 주로 땅밑에 있는 약재가 좋다.
15.식물을 약재로 쓸때는 햇빛에 말리는 것과 그늘에 말리는 것이 있고 독성이 있는 식물은 햇빛에 말려야 안에 있는 독성분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독성이 없는 식물은 그늘에서 말려야 성분이 증발하지 않고 약효가 더 강화된다.
16.같은 과의 식물은 약효가 거의 비슷하다.
17.더덕이나 칡 같은 뿌리종류중 간혹 뿌리속살 안에 물이 차는 경우가 있는데 그주변은 마치 벌레가 갉아먹은 것처럼 단단해져 있으며
그 물은 버리지 않고 약으로 처방한다.
*나무의 특징
1.나뭇가지는 주로 햇빛이 잘드는 동쪽을 향하여 많이 뻗어나가며 산위쪽 방향으로는 나뭇가지가 적게 붙는다.
2.나무는 같은 종끼리 군락을 지어 자라면서 외부 세력을 배척하고 자기 영역을 점차 키워나간다. 특히 낙엽은 같은종한테는 거름이 되지
만 다른종에게는 거름이 되지않고 씨앗이 떨어져도 잘 발아하지 않는다.
3.모든꽃과 열매는 햇가지에 맺히며 과실수 묘목을 심으면 3년후에 과실이 열린다.
4.식물이나 나무에 곁잎이 있고 줄기와 곁잎사이에 촉눈이 나는 것들은 모두 꺾꽂이를 하여 번식할수 있다.
5.똑같은 종의 나무라도 음지의 나무는 껍질이 얇고 일조량을 늘리기 위해 빨리 자라며 목질이 연한 편이고 양지에 있는 나무는 수분
증발을 방지하고 벌레나 기생충의 침범을 막기 위해 껍질이 두툼해지고 성장속도가 느리며 목질이 딱딱하다.
6.나무가 어릴때는 성장이 빨라 나이테가 굵고 선이 넓지만 나이가 들수록 성장이 느려져 아니테가 좁아지고 선이 가늘어지며 껍질이
두꺼워지고 몸통과 줄기에 옹이가 많이 생기고 벌레가 많이 생긴다.
7.나무는 봄,가을에 옮겨심는 것이 좋다.
8.먹을수 있는 과실이 열리는 나무는 대체로 꽃이 작게 피는데 그 중에서 밤이나 도토리처럼 단단한 껍질속에 씨앗이 들어 있는 각과류
들은 꽃이 이삭처럼 길쭉하게 달린다.
9.밤,배,감은 나무에 접을 붙여서 번식시켜야 열매가 굵다.
10.나무는 봄,여름에 수분함량이 높아지기 때문에 무게가 많이 나가며 가을 ,겨울에는 몸체에 수분이 적어 가벼워진다.
11.나무줄기를 크게 자른것이 둥글이고 나무를 쪼갠것이 장작, 땅속에 나무 썩은 것이 까둥글이다. 장작을 팰때는 나무테가 넓은쪽을
쪼개면 결이 연하여 잘쪼개지고 나무를 썩지않게 오래보관 하려면 겉껍질을 벗겨내어야 나무진이 곁으로 스며나와 방부효과가 좋다.
*식물의 생태
1.산에 숲이 우거지면 그밑에 있는 식물의 여러종류는 산소동화작용을 하지 못하여 소멸한다.
2.늦가을 서리가 내릴 무렵에 논밭을 갈아 엎으면 토질이 부드러워지고 땅속에 들어 있던 해충이 줄어들어 봄에 잡초가 덜 올라온다.
3.모든나무나 식물의 몸체네는 스펀지처럼 생긴 기공선이 들어 있어 낮에 해가 비추면 산소동화작용과 잎의 증산작용이 활발해져서
내부 압력이 높아지고 스편지가 팽창하면서 수분을 많이 빨아들인다.
4.가볍고 바람에 잘 날리는 씨앗은 주로 봄에 파종하고 둥글고 무거우며 껍질이 딱딱한 씨앗은 가을에 파종해야 싹이 잘 나온다.
5.겨울에 날씨가 춥고 눈이 많이 오는 해 그 이듬해에는 농사가 잘되고 날씨가 춥지 않고 눈이 적게 오는 해에는 흉년이 들고 벌레가
많이 생긴다.
6.비가 오기 직전 산속의 옹달샘이나 우물물을 마셔보면 비릿한 냄새가 나는데 비가 일단 내린 후에는 냄새가 사라진다.
7.산에 부는 봄바람, 여름에 부는 태풍, 겨울에 오는 눈은 나무의 묵은 가지를 부러뜨려 자연 스스로 가지치기를 하여 가을에 풍성한
열매가 열리게 해준다.
8.건조한 봄에는 산에 불이 많이 나는데 사람의 실수로 난 불이 90% 이상이고 나머지는 자연 상태에서 저절로 발화하는 경우이다.
건조기에 나무끼리 부딪쳐 불이 나거나 봄에 얼었던 바위가 녹아 아래쪽 바위 위로 굴러 떨어지면서 스피크가 나서 불이 나기도
하며 산불이 나면 주변에 있는 공기를 흡수하여 강한 회오리바람처럼 세력을 키워 순식간에 산 전체를 불태워 버릴수 있다.
9.산행을 할때 인공적으로 만든 계단이나 큰 바위가 있는곳,내리막에서는 뛰지 말고 가볍게 내려와야 관절을 다치지 않는다.
출처:산속에서 만나는 좋은 식물148,그린홈.